본문 영역으로 바로가기
역사문화의 블루오션 바로보기 동영상

역사문화의 블루오션 바로보기




등록마감

강의 소개

한국사에 있어서 중앙과 지방, 지배층과 민중의 문화는 과연 어떤 의미가 있으며, 또 어떻게 보아야 바로 볼 수 있을까? 이 강의는 지역문화와 생활문화라는 역사의 ‘소수, 부분, 블루오션’에 대한 관심과 그 올바른 의미를 찾으려는 작은 디딤돌로 준비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역문화 생활문화의 새로운 조망과, 상대적 인식과 이해의 필요성은 어떻게 제시하여야 할까? 이제까지 역사에서 크게 주목하지 못했던 ‘역사가 챙기지 않은 지역의 이야기’, ‘지역민이 만든 문화’, 그리고 ‘마을의 공동체 생활문화’를 대상으로 주목하고, 이들을 올바로 바라보기 위한 진지한 토론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리하여 ‘지역문화 바로보기’에서는 지역사와 지역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시각을 지역민 주체적 시각, 보편과 특수성의 이해, 종합적 성격의 파악 등으로 정리하여 보고, ‘쓰여지지 않은 역사’ - 자율과 공생의 촌락공동체문화-에서는 역사에 상세히 기록되지 않았고, 그 가치가 올바로 전승되지 않았던 전통사회의 생활문화사를 살피되, 그 대상을 촌락생활문화로 정하여 자율과 공생의 지혜로 이루어졌던 촌락공동체 문화를 함께 살펴볼 생각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지역문화, 생활문화의 계승과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지역과 마을의 문화들이 전통적 가치로 계승될 방향과, 미래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Culture can have multiple aspects depending on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and the value and meaning can be determined by how we view it.

This course would like to present how to establish and complement broader understanding on local and life culture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favor of the ones held by ruling class, as well as how to understand and inherit correct value of local culture through reevaluation.

강좌 구성

제1주 : 오리엔테이션, 강좌 개관, 교수 및 참고문헌 소개

제2주 3주 4주 : 역사와 문화 바로 보기

제5주 6주 7주 : 지역문화 바로보기(지역민 주체적 시각, 상대성과 특수성 이해, 종합적 성격의 파악 등)

제8주 9주 10주 : 생활문화와 마을 문화 바로보기(쓰여지지 않은 역사와 그 가치 바로보기, 전통생활문화의 자율과 공생의 지혜)

제11주 12주 : 지역문화, 생활문화의 계승과 활용(역사문화의 전통가치 계승과 미래자원 활용 가능성 검토)

제13주 : 강의 총정리 - 역사의 블루오션, 그 가치와 의미

교수 소개

·1994~현재: 공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역사민속학회장(96-98)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99-01)

·역사문화학회장(08-10)

·공주대 문화유산대학원장(13-14)

·한국서원학회장(11-14)

·문화재청 문화재 위원(05-15) 등 역임

운영조교

TA 조운득

공주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TA 류미나

공주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분야

    인문
    (인문과학)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운영기관

    KNU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전화번호

    -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주차
    (주간 학습 권장 시간)

    13주
    (주당 00시간 26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학습인정시간
    (총 동영상시간)

    -
    (05시간 47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수강 신청 기간

    2017.02.01 ~ 2017.03.26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운영 기간

    2017.02.13 ~ 2017.05.14